소니 α350
▒ 관심사&기타/카메라
| ||||||||||||||||||||||||||||||||||||||||||||||||||||||||||||||||||||||||||||||||||||||||||||||||||||||||||||||||||||||||||||||||||||||||||||||||||||||||||||||||||||||
|
| ||||||||||||||||||||||||||||||||||||||||||||||||||||||||||||||||||||||||||||||||||||||||||||||||||||||||||||||||||||||||||||||||||||||||||||||||||||||||||||||||||||||
|
캐논 450D VS 소니 알파 200 VS 펜탁스 K200D
1. 프롤로그
작년 여름부터 시작된 신제품 러쉬는 각사의 중급기와 고급기가 줄줄이 나왔꼬
이번 PMA08에 앞서서 각사의 엔트리급 카메라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착한 가격과 강력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이번 카메라들을 발표에 따라서 비교분석해 보겠습니다.
2. 선수입장
1)캐논 450D
이번 캐논 450D는 가히 충격적일 정도의 강력한 스펙을 지니고 나왔습니다.
중급기인 40D와 비교가 될정도로 막강한 스펙을 지니고 있습니다.
자세한 스펙은 캐논사의 홈페이지나 디씨인사이드에서 구경하시고...... 링크 걸어주면 네이버가 제 블로그를 검색에서 제외해서-,.-;;
캐논은 300D를 시작으로 100만원대의 DSLR을 끈을 선구자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캐논의 엔트리 기종으로 사진 생활을 시작했고,
캐논은 능력이 한정된 엔트리에서 중급과 고급으로 소비계층을 이동하는데 성공했죠.
이것은 작년에 가장 많이 팔린 400D에서도 여전히 유효하게 발휘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엔트리는 항상 스팟측광을 빼거나 어딘가 모르게 상당히 부실한 스펙으로 나왔죠.
그런것 때문에 캐논의 상술이 지나치다라는 말이 많았지만...
여튼 이번에 나온 450D는 이런것이 무색할 정도로 많은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비교기에서 계속
2)소니 알파 200
올해 초 가장 먼저 포문을 열고 공격적인 TV CF를 때리고 있는 소니입니다.
기존의 알파 100에서 좀더 옆그레이드된 알파 200을 출시했죠.
70만원대라는 유효적절한 가격을 지니고 있는 개념기종으로 생각되지만...
현재 캐논 450D때문에 눈물만 콸콸 나올 수도 있는 상황이군요.
3)펜탁스 K200D
기존의 K100D의 확실한 업그레이드입니다.
K10D를 뛰어넘는 능력을 지니고 있을 정도라고 생각되는군요.
보급기임에도 방진 방습을 넣는등 펜탁스가 상당히 정성을 쏟아 부은듯 합니다.
3. 비교분석
1)화소
캐논 450D - 1200만화소 |
소니 알파 200 - 1000만 화소 |
펜탁스 K200D - 1000만 화소 |
40D의 천만화소보다 더 높은 1200만 화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급기를 발라먹는 화소수 군요. 보통 캐논의 후발 기종이 좀더 화소수가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역시 CMOS센서를 사용하고 노이즈 제어가 좋을 듯한 예상이 드는군요. |
알파 700보다 좀더 낮은 1000만 화소를 지니고 있습니다. 알파 100의 CCD를 베이스로 제작했다고 하는데 사실 제고 떨이의 감이 없지 않아 있는 편이군요. 노이즈가 우려되지만 현재 나와있는 샘플로서는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상급기의 K20D가 삼성의 1400만 화소를 사용하고 있지만 K200D는 소니제의 1000만 화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작인 K100D가 600만 화소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상당한 발전이라고 할만합니다. |
1위 |
공동 3위 |
공동3위 |
2)LCD
캐논 450D - 3인치 23만 |
소니 알파 200 - 2.7인치 23만 |
펜탁스 K200D - 2.7인치 23만 |
3인치의 넓디 넒은 후면 액정을 지니고 있습니다. 상당히 마음에 드는 부분으로 라이브뷰가 가능한 450D이고 처음 입문하는 사람에게는 3인치의 넓은 액정은 상당히 매력적이라고 생각됩니다. |
2.7인치로 상위 기종보다 좀더 낮은 수준의 액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소는 일반적인 23만화소를 지니고 있습니다. 예전보다 좀더 높아진 화면이지만 캐논에 비해서 살짝 아쉬움이 남는군요. | 소니와 비슷한 사양의 LCD를 지니고 있습니다. 요즘 보통 상향 평준화가 되는 경향이 있기 떄문에 실제로 제품이 나온다음에 발색이라던가 시야각의 대한 평가가 중요할 듯 하군요. |
1위 |
공동 3위 |
공동3위 |
3)방진방습
캐논 450D - 바디 지원. 렌즈 미지원 |
소니 알파 200 - |
펜탁스 K200D - 바디 지원, 렌즈 지원 |
사실 보급기에서 방진 방습을 따지는 것은 살짝 우수운 일입니다. 물론 중급기에서 캐논이 보여준 허접한 방진 방습을 보면 눈물만 콸콸. 다행이도 캐논의 렌즈중에는 방진 방습이 잘되있는 렌즈가 많은 편 |
현재 소니의 렌즈는 방진 방습이 지원되고 있지 않습니다. 물론 소니 알파 200에도 방진 방습은 들어있지 않습니다. 사실 이게 단점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 이번 타이틀은 어떤 의미로는 K200D를 위한 평가 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어느정도 수준의 방진방습인지는 현재 밝혀져있지 않지만 이전 K10D의 능력을 봤을 때는 쓸만한정도가 되지 않을 까합니다. 렌즈가 상당히 부실하지만 그래도 현재 2종류의 방진 방습이 나와 있고 꾸준히 출시가 된다고 하니 보급기중에서는 상당히 높은 성능이 부여되었다고 판단됩니다. |
2위 |
3위 |
1위 |
4)무게
캐논 450D - 475g |
소니 알파 200 - 532g |
펜탁스 K200D - 630g |
현재 발표된 엔트리급중에서는 가장 가벼운 무계를 지니고 잇습니다. 플라스틱으로 도배를 했겠지만. 여튼 보급기일수록 당연히 가벼울 수록 좋은 법. 무계에서 충분한 미덕을 보여주고 있군요. |
적당한 무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전작인 알파 100보다 좀더 가벼운 정도이고 타 기종과 비교해서는 중간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상당히 무거운 무계를 보이고 잇습니다. 방진방습을 지원해서 그런지 안에 쇠좀 넣었는지... |
1위 |
2위 |
3위 |
5)AF
캐논 450D - 9포인트 9크로스 |
소니 알파 200 - 9포인트 1크로스 |
펜탁스 K200D - 11포인트 9크로스 |
보급치 최초로 전 영역 크로스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물론 포인트가 많고 다 크로스라고 해서 빠른것은 아닙니다. 하도 구라핀이 가득한 캐논이기 때문에 ... 하지만 이번 발표는 확실히 엔트리 라인을 뛰어넘는 성능이라고 봐야겠죠. |
다소 빈약한듯 보이지만... 이전 알파 100은 보급기중에서 포토도에서 가장 좋은 af 성능을 보여줬고. 현재 베터 테스터 상에서는 거의 알파 700에 유력하는 속도를 보여준다고 하는군요. 물론 뻥은 치지 않습니다. | 상당히 높은 수준의 af센서를 지니고 있습니다만..................펜탁스의 af는 저광량만 되면 버버버벅이면서 바로 mf로 변화하게 만들었는데. 솔찍히 이번에도 그럴것 같다는 예상이 드는군요. 전작인 k10d쫌 문제가 많았죠. |
1위 |
2위 |
3위 |
6)뷰파인더
캐논 450D - |
소니 알파 200 - |
펜탁스 K200D - |
배율은 높은편이지만 크롭 비율이 타사보다 좀더 높은 1.6이기 떄문에 비스무리한 화면을 볼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
배율이 살짝쿵 450d보다 낮지만 크롭배율은 1.5로 높은편이죠. 아마도 비스무리 할듯.. 재미잇는건 소니의 아이스타트 기능. 유용성을 떠나서 하나라도 있으면 좋은법-,.-;; | 시야율이 좀더 높고 배율도 괜찮은 편입니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펜탁스의 바디들은 mf를 염두해놓기 때문에 뷰파인더가 보급기중에서는 넓은 편이죠. |
3위 |
2위 |
1위 |
7)라이브뷰
캐논 450D - 콘트라스트, mf지원 |
소니 알파 200 - 미지원 |
펜탁스 K200D - 미지원 |
라이브뷰가 효용이 없다느니 어쩌구 백날 떠들어봐야 있으며 좋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로우 앵글이라던가.. 남 구경시켜주기 등 특히 접사시에는 상당히 유용하죠. 그런 의미에서 이제 보급기에도 첨가된 캐논의 정책은 칭찬할만 합니다. |
소니는 알파 300부터 라이브뷰를 채용한다고 합니다. 라이브뷰가 되는 소니의 제품을 사실 분은 좀더 기다리시기를... | 아쉽게도 지원하지 않는군요. 다행이도 뷰파인더가 커서 대충 커버될듯 하지만... |
1위 |
3위 |
3위 |
8)렌즈
캐논 450D |
소니 알파 200 |
펜탁스 K200D |
현재 가장 많은 렌즈군과 서드파티를 보유하고 있는 것은 역시 캐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기다가 고급렌트도 타사의 렌즈와 비교해서 확실하게 싸다고 할 수 있군요. 보급형 렌즈 역시 다양하고 구하기 쉽습니다. |
소니에서는 아직 보급형 유저들을 위한 단렌즈 발매에 안좋은 편입니다. 사용자는 많아지고 계속해서 중고시장에서 미놀타 렌즈 시체 발굴을 해야되고 가격은 올라가는 아쉬운 상황이.... | 펜탁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렌즈는 참 많습니다. 일반 유저들은 집안에서 장농 뒤지다가 나오는 모든 렌즈를 다 끼울 수 있는 편이죠. 물론 문제라면 신제품 렌즈들을 끼우고 싶어도 잘 못끼운다는거-.-;; |
1위 |
3위 |
2위 |
9)가격
캐논 450D - 70~90만원 |
소니 알파 200 - 70만원대 |
펜탁스 K200D - 80~90만원 |
현재 확실한 가격은 나와있지 않습니다. 다만 미화로는 바디 온리가 799달러 번들킷이 899달러입니다. 캐논 코리아에서는 아마도 90만원대에 나오지 않을까합니다. 물론 바로 가후들어가서 60만원대로 떨어질듯하군요. |
가격적인 개념이 착한 녀석입니다. 현재 초판이 70만원에서 판매되고 쇼핑몰에 따라서는 60만원대에서도 구입할 수 있습니다. 번들킷만 판매하고 있으며 바디온리로만 나오면 50만원대로 나올 확률도 높겠군요. |
한화로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일화로 바디는 9만엔 렌즈 포함해서 10만엔으로 봐서는 아마도 90만원근처에 나오지 않을까합니다. |
2위 |
1위 |
3위 |
10)손떨림 보정
캐논 450D - 렌즈보정 |
소니 알파 200 - 바디보정 |
펜탁스 K200D - 바디보정 |
번들렌즈가 is를 지원하는 캐논으로서 현재 실제적으로 타 엔트리 급에 비해서 꿀릴 것은 없습니다만.....요즘 원체 바디 손떨림 보정들이 강해져서.. |
소니의 최대강점은 역시 바디 손떨림 방지가 있습니다. 단레즈도 손떨림 방지가 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편이죠. |
소니와 마찬가지로 바디 손떨림이 지원됩니다. 돈절약하는 지름길이죠. |
3위 |
1위 |
2위 |
11)먼지제거
캐논 450D - 초음파 먼지 떨이 |
소니 알파 200 - 안티 코팅, 손떨림 털이 |
펜탁스 K200D - |
올림푸스와 비슷한 방식으로 먼지 떨이를 합니다. 전작들이 영 별로였지만 40d부터는 상당히 효과적으로 먼지를 떨었기 때문에 기대가 되는 부분입니다. |
약간은 부족한 먼지 떨이 시스템을 지니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먼지를 안붙게 하고 이후는 손떨림 쉬프트가 움직이면서 먼지를 떠는 방식이죠. |
기본적인 방식은 소니와 비슷하지만 재미있게도 ccd의 어느부분에 먼지가 붙어있고 많으면 경고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군요. |
2위 |
3위 |
1위 |
12) 기타
3기종 모두다 높은 성능의 배터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마도 1000장은 다 거뜬히 넘을 것 같군요.
그리고 세 기종 모두다 세로그립을 데리고 살 수 있습니다.
4. 총점
점수는 낮으면 낮을 수록 좋습니다-,.-;;
|
캐논 450D |
소니 알파 200 |
펜탁스 K200D |
화소 |
1 |
3 |
3 |
LCD |
1 |
3 |
3 |
방진방습 |
3 |
3 |
1 |
무게 |
1 |
2 |
3 |
AF |
1 |
2 |
3 |
뷰파인더 |
3 |
2 |
1 |
라이브뷰 |
1 |
3 |
3 |
렌즈 |
1 |
3 |
2 |
가격 |
2 |
1 |
3 |
손떨림 보정 |
3 |
1 |
2 |
먼지제거 |
2 |
3 |
1 |
총점 |
19 |
26 |
25 |
5. 에필로그
1등은.. 아마도 판매율에도 1등을 먹을 캐논 450D가 차지했습니다.
물론 이 평가부분은 아직 실제로 제품이 판매되기 전에 재미삼아 한것이 때문에 커다란 의미가 없습니다.
화질에 대한 평가도 없고요^^
재미삼아 각 기종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출처] 캐논 450D VS 소니 알파 200 VS 펜탁스 K200D|작성자 올페